설립 필요성과 원칙엔 공감, 추진 방향이나 설립 시기는 각각
‘평택푸드’ 시민공청회 높은 관심 [509호] 2010년 03월 03일 (수) 이철형기자
평택시, 시민식량권 확보 강조
규모에 대해서는 의견 엇갈려
기존 유통망 활용방안도 제기
설립에는 공감하지만, 추진 방향은 각기 달랐다.
로컬푸드의 일종인 평택푸드 추진을 위한 시민공청회가 26일 남부문예회관 소공연장에서 개최됐다. 이번 공청회는 지난해 한 차례 시의회에서 조례 제정이 무산된 후, 시민 의견수렴을 위해 마련됐다.
평택푸드 추진계획과 지원조례안 설명 등 기조발제는 이우진 평택시농업기술센터 채소팀장 이 맡았다. 이 팀장은 평택푸드가 안전한 우리시 농산물을 시민에게 직접 제공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만족하는 지역 먹을거리체계라며 지역운동으로의 붐 조성과 자율적인 정착을 할 수 있도록 시에서는 2010년부터 5년간 65억 원의 예산을 들여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를 성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기구로 평택푸드위원회를 두고 평택푸드센터를 설립해 업무를 관장토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팀장은 이 같은 새로운 먹을거리 체계가 소규모로 진행되는 타 시군과 달리 시민식량권 보장 차원에서 시 전체 먹을거리에 대한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기조발제에 이어 토론자의 발표가 이어졌다.
김종덕(경남대 교수) 평택푸드추진단장을 좌장으로 토론에는 정영란 평택시의회 의원, 이철형 <평택시민신문> 기자, 김덕일 평택농업희망포럼 운영위원장, 조선행 평택녹색소비자연대 사무처장, 고인정 전 평택시 보육시설연합회장 등 5명이 참여했다.
정 의원은 평택푸드가 꼭 필요한 사업이라는 데는 의견을 같이 하지만 성공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선행조건이 있다며 이 조건을 갖출 때까지 시기를 늦출 것을 주장했다.
정영란 의원이 말한 선행조건은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최소 3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한 만큼 이 기간 동안 농가지원을 늘려 공급물량을 확보해야 하며 △당장 공급 가능한 품목 이외의 작물 확보 방안과 예산확보 방안 마련 △관내 농협 참여 등 기존 유통망 활용 방안 마련 등이다.
이철형 기자는 글로벌 먹을거리체계의 안전성과 불안정성이 크게 위협받는 현실에서 로컬푸드를 추진하는 것에 동의하고 △규모를 작게 시작할 것 △소비자 교육과 훈련의 선행 △새로운 유통조직 구축이 아닌 먹을거리 전반을 성찰하는 문화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덕일 운영위원장은 고령화에 따른 농촌의 붕괴가 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농민이 안심하고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평택푸드가 장기적인 농업정책을 가지고 대다수 농업인과 시민이 추진 전 과정에 참여해 우리시의 먹을거리 복지를 실현해 가야 할 것이라고 토론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