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0월 4일 일요일

건강기능식품, 많이 먹어도 부작용 없다고? |

식이섬유 보충용 식품, 부작용 신고 1위 심할 경우 두드러기·탈모까지 생기기도
건강기능식품의 부작용을 호소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2006년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총 155건의 건강기능식품 부작용 추정 사례 신고가 접수됐다. 부작용 추정 사례란 소비자가 신고한 주관적 증상으로 그 원인이 과학적으로 규명된 것은 아니다.

신고 집계 결과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는 '식이섬유 보충용 식품'을 복용한 후 부작용이 생겼다는 신고가 31건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글루코사민' 15건 ▲비타민제를 비롯한 '영양보충용 식품' 14건 ▲홍삼 12건 ▲알로에·화분제품 각 8건 ▲스쿠알렌 함유제품 7건 ▲프로폴리스·키토산·효소제품 각 6건 ▲녹차추출물 4건 순이었다.

부작용 유형은 구토, 메스꺼움, 복통, 설사, 소화불량, 변비, 위염, 위통 등 소화기계 부작용이 108건(중복 응답)으로 가장 많았고 가려움·두드러기·여드름·탈모 등 피부질환이 31건으로 뒤를 이었다. 그밖에 ▲두통·어지러움 19건 ▲발한·고열 11건 ▲부종·황달 8건 ▲생리 이상, 안구통증, 체중감소 6건 순으로 집계됐다.

건강기능식품 복용 연령은 40대 이상이 주류를 이루지만, 부작용 신고자 연령은 20~30대가 절반 이상 차지했다. 다이어트 관련 제품 섭취가 많은 20대와 30대가 각각 38명과 37명, 10대 미만도 13명이었다. 40대(23명)·50대(21명)·60대(16명)의 부작용 신고는 20~30대보다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식약청 관계자는 "안전성이 확인된 건강기능식품만 유통되더라도 사용자의 오남용, 개인에 따른 특이한 생리반응, 병용 약물 또는 식품의 성분, 불법 성분의 오염·혼입 같은 원인으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정시욱 헬스조선 기자 sujung@chosun.com

참고 : 파마넥스 종합영양제 라이프팩,연호르몬제 에스테라 1 2 추천[클릭]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