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7월 20일 월요일

MB에게 배신당한 한국노총 "이대로 당하지 않겠다."

 

MB에게 배신당한 한국노총 "이대로 당하지 않겠다."


"대화하는 척하면서 칼 꽂는 정부... 노동부장관 사퇴하라"


이인상 산업인력공단노조 위원장은 "노동자 대연대"를 촉구하며 "(정부 및 여당과) 정책연대를 재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노총이 그동안 정권, 여당과 정책연대를 했는데 우리에게 돌아온 것은 뭔가. 공공기관이 무분별하게 통폐합되고 있으며, 비정규직 역시 양산되고, 현장의 노동조합은 말살되고 있다."


배정근 공공연맹 위원장 역시 "정부의 정책연대는 결국 노동자들을 이용해 정권의 권력을 유지하려는 속셈이었음이 여실이 드러나고 있다"면서 "과연 이 정부가 노동자·농민을 위한 정책을 펴고 있는지 반문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배 위원장은 "정책연대를 하고 있는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노동조합과 무슨 협의를 하냐'는 망발까지 했다"면서 "저런 정당이 노동자와 함께하는 정당일 수 없으며 한국노총 공공부문 노동자들의 인내심이 한계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장석춘 한국노총 위원장은 "정부는 앞에서 대화를 하는 척하면서 등 뒤에서는 칼을 꽂는 비열한 행위를 계속하고 있다"면서 "말로는 '선진화' 운운하지만 공공부문을 희생양으로 삼아 땅바닥에 떨어진 정권의 인기를 만회하고자 하는 저급한 술수라는 것을 국민들은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장 위원장은 "백만실업 대란설을 유포하며 비정규직법 개정을 주장해 온 정부가 야당과 노동계에 자기 책임을 전가하기 위한 기획해고를 하고 있다"면서 "근거 없는 실업대란설 유포와 비정규직법 개악시도에 앞장섰던 노동부장관의 사퇴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최두환 정보통신연맹 위원장도 "정부는 공기업 선진화라는 허울 좋은 명분으로 노동3권과 단협을 부정하고 있으며 심지어 대졸 신입 직원의 임금마저 삭감했다"면서 "권력과 자본의 이익만을 대변하고 노동자 서민은 안중에도 없는 이 정권에게 이대로 당하고만 있을 수는 없다"고 말했다.


한국노총 출신 한나라당 의원 "사죄하고픈 마음뿐"

"집권당과 정부를 대표해 이 자리에 나왔다. 사죄하고픈 마음뿐이다. 대한민국이 선진국가가 된 것은 공기업 노동자들의 헌신과 희생 때문이었다. 그런데 그런 공공 노동자들부터 때려잡는 정책을 펴고 있다. 지금 MB 정권의 분위기가 말이 아니다. 좋은 일자리가 하향평준화되고 있는데, MB 정부 각료들이 잘못하고 있다. 공기업 노동자들부터 선도 해고하고 있는 비정규직 정책 분명히 반대한다. 당내에서 열심히 투쟁하고 정부에 오늘 이 열기를 잘 전달하겠다."


하지만 발언의 수위는 낮아지지 않았다. 김 의원에 이어 무대에 오른 구자군 신용보증기금 노조 위원장은 "사회 곳곳에서 들리고 있는 '독재타도'란 말이 여전히 유효한 구호가 되고 있다"면서 "정부는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용산참사 유가족들이 아무리 절규해도 관심조차 두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구 위원장은 "공기업 노동자들에게 경제 위기 책임을 전가하지 말라"며 "역사의 물줄기는 약자들의 단결로 이어져 왔음을 우리 노동자들은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기획재정부를 앞세워 임금과 근로조건을 후퇴시키고 감사원과 노동부를 통해 단체협약을 개악하려 하는 등 노동법과 헌법을 스스로 유린하는 만행을 저지르고 있다"면서 "노동기본권과 생존권 그리고 무엇보다 소중한 노동조합의 깃발을 지키기 위한 결심과 행동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천명했다.


이들은 또한 "정부가 비정규직 기획해고에 앞장서고 노동부장관이 100만 해고대란설을 퍼뜨리는 정부를 보면서 노동자들은 억장이 무너지는 절망감을 느낀다"며 "정부는 철지난 '개악 타령'을 그만두고 후속대책과 정규직 전환을 위한 지원정책 수립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오마이뉴스(09.07.18일자)에서 일부발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