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식을 먹는 습관을 의학적으로 구분하면 ‘야식경향’과 ‘야식증후군’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야식경향(evening hyperphagia)이란 하루 총 섭취열량 중 50% 이상을 저녁식사 때부터 잠자기 전까지 먹는 것을 말합니다. ‘야식증후군(night eating syndrome)’은 ‘야식경향’과 더불어 아침에 식욕이 없고, 잠을 잘 못 이루는 증상이 추가됩니다. 최근 연구 결과 성인 10명 중 1명은 ‘야식경향’이 있고, 100명 중 1명은 ‘야식증후군’ 환자라고 합니다.
성인 여성에게 권장하는 섭취 열량은 하루 최대 2000`㎉ 정도입니다. 직장인 K씨가 아침을 굶고, 점심에는 김밥 한 줄, 저녁은 친구들과 어울려 파스타를 먹고, 후식으로 커피 프라푸치노 한 잔과 치즈케이크 한 조각을 야식으로 먹었다고 예를 들어 봅시다.
김밥 484㎉ + 파스타 620㎉ + 초콜릿 프라푸치노 530㎉ + 치즈케이크 한 조각 315㎉는 총 1949㎉`입니다. 하루 종일 먹은 양이 권장열량인 2000㎉를 넘어서지 않았지만 저녁식사를 포함해 야식으로 먹은 양이 60%가 넘습니다. 이런 식습관이 반복된다면 K씨는 ‘야식 경향’이 있는 것이지요.
‘야식경향’은 젊은층에서 더욱 뚜렷이 나타납니다. 20대 10명 중 2명(19.2%)이 ‘야식경향’을 나타내는 것과 달리 40~50대는 절반 수준인 8% 정도가 ‘야식경향’을 보입니다. 또한 비만 환자의 40.1%가 야식을 먹고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습니다. 비만과 야식의 관계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것이죠.
야식을 습관적으로 먹고 있지는 않나요? 지금 체크해보세요.
7가지 이상 해당하면 ‘야식증후군’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 새벽 1시 전에 잠이 오지 않는다.
□ 잠을 자다가 중간에 자주 깬다.
□ 잠들기 직전까지 음식을 먹곤 한다.
□ 잠드는 시간이 일정하지 않다.
□ 스트레스를 받으면 폭식한다.
□ 밥 대신 군것질로 끼니를 때울 때가 많다.
□ 아침을 거른다.
□ 점심시간에 식욕이 별로 없다.
□ 자다가 음식을 먹기 위해 깬 적이 있다.
□ 우울하다.
□ 밤에 과식하면 죄책감을 느낀다.
□ 체중 변화가 심하다.
□ 복부 비만이 있다.
□ 담배를 피운다.
□ 하루 평균 소주 3잔 이상 마신다.
/ 윤 장 봉 | 중앙대 의대 졸업, 신경정신과 전문의, 국제미용학회 정회원,
대한비만체형학회 공보이사, 트리니티클리닉 명동점 원장.
댓글 없음:
댓글 쓰기